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4)
[AWS] aws 기초 실습(1) - 에티버스러닝 이 글은 에티버스러닝에서 K-Digital Training 교육을 수강하면서 정리한 것이다. 이번 주부터 aw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각자 주제를 정해서 인프라 구축과 웹 화면 구축까지를 해야한다. 그래서 가볍게 그동안 배운 것을 확인할 겸 정리했다. 1. VPC 생성 보통 Subnet은 /16으로 한다. 2. 서브넷 생성 Public에 2개 Private에 2개 생성 2A - 10.250.1.0/24 (VEC-PRD-VPC-MOBILE-PUB-2A) 2C -10.250.11.0/24 (VEC-PRD-VPC-MOBILE-PUB-2C) 2A - 10.250.2.0/24 (VEC-PRD-VPC-MOBILE-PRI-2A) 2C -10.250.12.0/24 (VEC-PRD-VPC-MOBILE-PRI-2C) 직접..
[AWS] ALB에 Router53으로 Domain 연결하기(2) - CloudFront 이전 글에 이어서 Router 53과 CloudFront를 설정해보겠다. 2. Router 53 2.1 레코드 생성 이전에 만든 ALB를 선택할 수 있다. *. 도메인도 추가해준다. nginx의 설정 파일 (/usr/share/nginx/html/index.html) 에 적은 내용대로 출력된다. 2.2 확인 3. CloudFront 3.1 버지니아 북부에 인증서 생성 CloudFront는 버지니아에 있는 인증서가 필요하다. * 만약 인증서 발급이 잘 되지 않는다면 이전 글(ALB에 Router53으로 Domain 연결하기(1))을 참고하면 된다. 3.2 CloudFront 배포 생성 3.3 Router 호스팅 영역 편집 유형 A인 레코드들을 다 편집한다. 3.4 오류 수정 3.4.1 502 ERROR 이..
[AWS] ALB에 Router53으로 Domain 연결하기(1) - 에티버스러닝 에티버스러닝의 K-Digital Training 교육을 들으며 작성한 글이다. AWS 수업을 듣고 있는데 그동안 들은 수업 중에 가장 잘 맞는 거 같다. 실습하면서 시방서를 그리면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게 좋았다. 강사님도 열정을 가지고 수업해주셔서 즐겁게 수강하고 있다! * 글이 길어지는 관계로 ALB 생성까지만 작성하였다.* 1. ALB 생성 (서울 Region) 1.1 ALB를 위한 인증서 생성 ALB는 인증서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1.1.1 ACM에서 인증서 요청 구입한 Domain 이름으로 설정한다. 1.1.2 인증서 검증을 위한 설정 (수업 진행 중 인증서가 계속 발급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 Router 53에서 도메인 이름으로 호스팅 영역 생성 2..
[Docker] Docker 설치 및 container 생성 1. Docker 설치 yum install -y docker yum-co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yum install -y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2. Docker 활성화 및 버전 확인 systemctl enable --now docker docker --version 3. Docker 이미지 다운 docker pull nginx:latest docker pull alpine docker pull mysql:5.7 docker pull wordpress:5.7 # 호스트에 다운받은 이미지 확인 docker images docker image r..
[AWS] Elastic Load Balancer 개념 + AWS의 ALB, NLB 로드 밸런서 간단히 말하면 부하를 분산 해주는 장치이다. 여러 대의 서버를 사용해서 사용자가 접근하면 이 서버들에 분산 시킨다.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은 각 서버 순서대로 번갈아서 서버에 접근한다. (이 방식 외에도 여러 방식이 있지만,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렇게 여러 대의 서버를 사용해서 성능을 높이는 걸 Scale-out 이라고 한다. (반대는 Scale-in) L4와 L7스위치 로드 밸런서 L4 스위치 - Port 번호를 기준으로 부하를 분산한다. L7 스위치 - Url을 기준으로 부하를 분산한다. (고급 로드 밸런싱으로 http 헤더 정보를 분석한다.) AWS - Elastic Load Balancer - AWS에서는 Elastic Load Balancer(ELB)를 제공한다...
[Linux] LVM (논리 볼륨 관리자) -에티버스러닝 어느새 에티버스러닝에서 K-Digital training 교육을 들은 지 2달 반정도가 되었다. 6개월이 굉장히 긴 시간이라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너무 빨리 지나가서 놀랍다. 저번 주에는 너무 지쳐서 수업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 했지만 이번 주부터는 정신 바짝 차려야겠다. LVM이란? 사용자가 File System을 이용해서 직접 디스크를 제어하지 않고 LVM이라는 논리적인 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디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개념 1. PV(Physical Volume) : 물리적인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LVM으로 사용하겠다라는 선언 pvcreate #pv 생성 pvscan #가장 간단하게 pv 상태 확인 pvs #조금 더 자세하게 pvdisplay #아주 자세하게 (PV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고, 보통 VG에..
[Linux] Partition, File System, Mount 디스크 사용 Linux에서는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Partition → FileSystem → Mount의 순서를 거친다. 파티션 Partition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개 이상의 Partition이 존재해야 한다. fdisk, gdisk, parted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파티셔닝 체계는 크게 두 가지이다. 1. MBR(Master Boot Record) BIOS(펌웨어)를 실행 주 파티션을 최대 4개까지만 생성 가능 주 파티션 중 한 개는 확장 파티션으로 생성해서 12개의 논리 파티션을 생성 가능 2. GPT(GUID Partition Table) UEFI(펌웨어)를 실행 128개의 주 파티션 생성 가능 parted /dev/vdb..
[Linux] 사용자 계정 관리(에티버스러닝) 이 글은 에티버스러닝에서 K-Digital Training 과정을 수강하며 작성한 글이다. 강사님이 여러 번에 걸쳐 풀어주신 내용을 한 번에 정리해보았다. 블로그를 쓰며 정리하니 시간은 좀 오래 걸려도 내용이 머리에 잘 새겨지는 거 같다.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한다. 다중 사용자란? 하나의 운영체제를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리눅스 사용자 계정은 크게 root 사용자, 일반 사용자로 구분된다. 그리고 일반 사용자에는 system 사용자도 포함된다. ) 그래서 리눅스에서 일반 사용자를 추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1. /etc/passwd 사용자 계정들을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이다. root:x:0:0:root:/root:/bin/bash 이 원본 파일을 분석해보자 원본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