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18)
DNS란 DNS 란? Domain Name System 혹은 Service 혹은 Server라고 부른다. url을 IP 주소로 변환한다. 그러니까 http:// 주소를 172.18.0.0 이런 식으로 바꿔준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이유?컴퓨터는 우리가 쓰는 도메인 이름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IP주로소 바꿔서 통신을 해주기 때문이다. DNS의 구조-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웹(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IP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구조 .을 루트 도메인이라고 한다. 이런 루트 도메인은 ICANN이라는 기관에서 관리한다. 최상위 도메인은 TLD(Top Level Domain)라고도 부른다. 2단계 도메인은 SLD(Second level Domain)이다. 상위 도메인에서 하위 도..
VirtualBox Network의 종류(Host-Only, NAT) - 차후 Bridged 추가 필요 이걸 이해하기 위해서 VritualBox의 Network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우리가 VM을 만들면 가상의 인터페이스 카드(NIC)가 각 Guest에 만들어진다. 이 NIC에 각 VM의 IP가 할당되면 통신이 가능해진다.(참고로 IP 없는 통신에는 APR, 블루투스 통신 등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Network mode를 설정하면 NIC에 IP가 할당된다. 이제 Network mode에 대해서 살펴보자.  1. Host-Only Network내 컴퓨터와 VirtualBox Vm들의 사이를 연결 내 컴퓨터에서 VirtualBox VM으로 통신을 보내거나, VM에서 내 컴퓨터로 통신을 보낼 땐 Host-Only를 사용한다. (혹은 VM끼리 통신할 때도)이때는 당연하게도 인터넷이 필요하지 않다! Host-o..
[VMware] Ansible로 실습 환경 구축하기 - 에티버스러닝 이 글은 에티버스러닝의 K-Digital Training 을 진행하며 작성한 글이다. 그동안은 강사님이 만들어두신 yaml 코드들을 ansible을 통해 확인하였다. 오늘은 직접 yaml 파일들을 ansible 공식 문서 샘플+ 강사님이 적어놓으신 샘플을 통해 직접 코드를 수정하고 돌려보았다. VMware의 큰 구조가 다시 상기되면서 재밌는 수업이었다. 참고할 수 있는 공식문서 사이트이다. Ansible Documentation Ansible Documentation Ansible community documentation Ansible offers open-source automation that is simple, flexible, and powerful. Got thoughts or feedback..
[VMware] iDRAC에서 RAID 설정하기 (RAID 개념 포함) VMware 수업에서 iDRAC을 살펴보았다. iDRAC이란 원격에서 서버로 접속해서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서버 뒷면에 iDRAC 포트가 따로 있다고 함! - 여기에 LAN선을 연결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아래 창처럼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물리적 디스크를 확인 가능하다. 이 5개의 디스크에 ESXi 서버나 VM 들을 저장시킬텐데, 고가용성 보장을 위해 RAID 구성이 필요하다. RAID는 Virtual Disks 에서 설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RAID란 뭘까?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Independent Disk 의 줄임말이다. 데이터 방지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1부터 8까지의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가정하고, RAID 0, 1, 5, 6..
[VMware] 가상화 환경 개요 -에티버스러닝 이 글은 K-Digital Training 교육을 수강하면서 작성한 글이다. 4개월 정도 전에 제일 처음으로 VMware에 대해 배웠다. 그땐 이해가 되지 않는 개념들을 다시 들으니 이전보다 알아듣거나 따라잡기가 수월했다. 1. 하이퍼바이저란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 체제들을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이다. 기업 환경에서는 거의 대부분 TYPE 1을 많이 사용한다. (물론 중견기업, 대학에서도) 물리적 서버 위에서 하이퍼바이저가 직접 동작하면서 다수의 OS를 가동시킨다. 그리고 VMware에서는 Type1 하이퍼바이저로 ESXi를 사용한다. 2. 전체적인 구성 우리는 이런 실습 환경을 만들었다. 포트가 여러 개인 스위치에 포트 그룹을 만들고(VLAN이라고도 함) 그룹 ID값을 주었다. Ac..
[Linux] Amazon Linux2에 tomcat 설치하기 / 종료 및 시작 / index.jsp 파일 위치 tomcat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java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aws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인스턴스로 여러 번 확인할 일이 있어서 설치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1. Java 설치 sudo yum list | grep openjdk sudo yum install -y java-1.8.0-openjdk sudo yum install -y java-1.8.0-openjdk-devel sudo vim /etc/profile ######다음 내용 추가##########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1.8.0-openjdk-1.8.0.332.b09-1.amzn2.0.2.x86_64 export PATH=$PATH:$JAVA_HOME/bin export CLASSPATH=$JAV..
[Linux] LVM (논리 볼륨 관리자) -에티버스러닝 어느새 에티버스러닝에서 K-Digital training 교육을 들은 지 2달 반정도가 되었다. 6개월이 굉장히 긴 시간이라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너무 빨리 지나가서 놀랍다. 저번 주에는 너무 지쳐서 수업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 했지만 이번 주부터는 정신 바짝 차려야겠다. LVM이란? 사용자가 File System을 이용해서 직접 디스크를 제어하지 않고 LVM이라는 논리적인 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디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개념 1. PV(Physical Volume) : 물리적인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LVM으로 사용하겠다라는 선언 pvcreate #pv 생성 pvscan #가장 간단하게 pv 상태 확인 pvs #조금 더 자세하게 pvdisplay #아주 자세하게 (PV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고, 보통 VG에..
[Linux] Partition, File System, Mount 디스크 사용 Linux에서는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Partition → FileSystem → Mount의 순서를 거친다. 파티션 Partition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개 이상의 Partition이 존재해야 한다. fdisk, gdisk, parted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파티셔닝 체계는 크게 두 가지이다. 1. MBR(Master Boot Record) BIOS(펌웨어)를 실행 주 파티션을 최대 4개까지만 생성 가능 주 파티션 중 한 개는 확장 파티션으로 생성해서 12개의 논리 파티션을 생성 가능 2. GPT(GUID Partition Table) UEFI(펌웨어)를 실행 128개의 주 파티션 생성 가능 parted /dev/v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