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Packet Tracer의 기본 사용법을 알아보고, 간단한 예제로 종단 장치의 ip configuration 까지 했다.
이번에는 라우터를 설정해볼 것이다.
라우터 설정을 보기 전에 Packet Tracer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 그래야 원하는 IP 값을 설정하고, 실제로 라우터가 잘 동작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Packet Tracer가 처음이거나 아래의 글이 이해가 잘 안 된다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면 된다.
[Network] Cisco Packet Tracer 시작하기 (에티버스러닝 - 멀티 클라우드 엔지니어 교육) (tistory.com)
Packet Tracer 네트워크 구성
<조건>
1) 왼쪽의 네트워크는 Seoul, 오른쪽의 네트워크는 Busan이라고 가정한다.
2) 라우터의 이름을 각각 Seoul_R1, Busan_R1으로 설정한다.
3) Seoul의 IP는 50.50.50.150/26이고 Busan의 IP는 215.215.215.215/27이다.
4) 라우터끼리 통신할 때 Serial의 IP는 20.20.20.20/30을 사용한다.
5) Server는 첫 번째 IP를, PC는 두 번째 IP를 사용한다.
6) DNS는 Seoul Server IP를 사용한다.
이때 Seoul의 Server와 PC가 Busan의 Server와 PC에 통신이 가능하게 만들어 보자.
<풀이>
각 Server와 PC의 ip configuration을 위해서는 subnet mask를 이용해 사용 가능한 ip의 범위를 구하고,
IP, Subnet Mask, Digital Gateway, DNS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 Server의 Subnetting
50.50.50.150/26에서 Subnet Mask를 구하면 255.255.255.192이다. 네트워크 개수는 4개이다.
(서브넷에 대한 개념은 다음 글에 설명해 두었다. )
[Network]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와 서브네팅(Subnetting) (에티버스러닝 교육) (tistory.com)
따라서 IP 범위는 다음 처럼 4개로 쪼개진다.
(1) 50.50.50.0~50.50.50.63
(2) 50.50.50.64~50.50.50.127
(3) 50.50.50.128~50.50.50.191
(4) 50.50.50.192~50.50.50.255
이 중에 50.50.50.50.150은 (3)의 범위에 속하므로 사용 가능한 IP의 범위는 50.50.50.129~50.50.50.190이다.
<조건>에서 'Server는 첫 번째 IP를, PC는 두 번째 IP를 사용한다. '고 했으므로
Server의 IP는 50.50.50.129, PC의 IP는 50.50.50.130이다.
Digital Gateway는 보통 마지막 IP를 사용하므로 50.50.50.190이다.
DNS는 Server의 IP이므로 50.50.50.129이다.
<정리>
Seoul
- Server
- PC
Busan
- Server
- PC
다 되었다면 라우터를 클릭하고 CLI 창에 들어가보자!
0. CLI 창의 모드
?를 쓰면 명령어 확인 가능
리눅스처럼 축약 기능, 자동 완성 기능이 있다.
기본 설정에 앞서서 CLI창에서 사용하는 모드를 알아야 한다.
유저 모드(user mode)
hostname>
별로 할 수 있는 게 없다. (설정이 불가능하다.)
관리자 모드(previleged 모드, 특권 모드)
hostname#
유저 모드에서 명령어 enable을 치면 들어갈 수 있다.
설정을 확인하는 show running-configuration 명령어를 자주 사용한다.
구성 모드(global configuration 모드, 전역 설정 모드)
hostname(config)#
관리자 모드에서 configuration terminal 를 쳐서 들어간다.
라우터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을 하게 된다.
1. 라우터 기본 설정
<구성 모드>
hostname Seoul_R1
: 호스트 이름을 Seoul_R1으로 바꾼다.
enable password babo1
: 관리자 모드 진입 평문 password를 설정한다.
enable secret babo2
service password-encryption
: password 암호화
no ip domain-lookup
: 잘못된 명령어를 치면 다음에 명령어를 칠 수 있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도메인에서 명령어를 찾지 않게 만든다. (만약 명령어를 잘못 쳤다면 Ctrl+Shift+6을 치면 된다.)
<콘솔 모드>
line con 0
: 콘솔모드에 진입한다.
password babo3
: 콘솔의 password를 babo3로 바꾼다.
exec-timeout 0 0
: 자동 로그아웃 방지
logging synchronous
: 명령어를 입력하는 중에 인터페이스가 다운되어도 계속 입력할 수 있다.
exit
: 콘솔 모드에서 나와서 구성 모드로 돌아간다.
2. 라우터 인터페이스 설정
interface fastethernet 0/0
: 라우터의 FastEthernet0/0 인터페이스에 가서 IP 설정을 하겠다는 것이다.
(int f0/0)
ip address 50.50.50.190 255.255.255.192
: IP를 50.50.50.190으로, SubnetMask는 255.255.255.192로 설정한다.
no shutdown
: 라우터가 종료되지 않게 한다. 습관적으로 쳐주는 것이 좋다.
int s0/0/0
: 라우터의 Serial 0/0/0 인터페이스에 가서 IP 설정을 하겠다는 것이다.
ip address 20.20.20.21 255.255.255.252
: IP를 20.20.20.21으로, SubnetMask는 255.255.255.252로 설정한다.
clock rate
: Serial DCE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시계 모양이 생긴 쪽에만 설정한다.
ip route 0.0.0.0 0.0.0.0 20.20.20.22
: routing table을 설정한 것이다. 이 경우 Default static routing를 의미한다. 목적지를 못 찾겠는 경우에 무조건 20.20.20.22로 보낸다. 물론 이것은 라우터가 단방향일 때만 가능하다.
do wr
: do write를 축약한 명령어이다. do는 이전 모드에서 명령어가 가능하게 한다.
3. Telnet 설정
만약 원격 접속을 생각하지 않은 경우, 이 부분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ssh 연결까지 해볼 예정이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DHCP 설치 및 확인 -centOS (에티버스러닝-멀티 클라우드 엔지니어 교육) (0) | 2023.06.07 |
---|---|
[Network] Packet Tracer 스위치 설정 - VLAN (에티버스러닝-멀티 클라우드 엔지니어 교육) (0) | 2023.05.30 |
[Network] 서브네팅(Subnetting) 연습 (0) | 2023.05.24 |
[Network] Cisco Packet Tracer 시작하기 (에티버스러닝 - 멀티 클라우드 엔지니어 교육) (0) | 2023.05.23 |
[Network]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와 서브네팅(Subnetting) (에티버스러닝 교육)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