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쿠버네티스가
Cluster > Node > Pod > Container
순서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이 구조를 머리에 계속 가지고 있어야 쿠버네티스의 명령어를 사용하기가 편하다.
1. Node
사실 노드 명령어는 별 게 없다.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고 나서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했다.
각 Node는 가상 머신 하나씩을 의미하며, Name은 가상머신에 직접 설정해준 hostname이다.
2. Pod
- get pod
처음으로 배운 명령어는 kutectl get pods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default pod를 보여준다. Pod를 만들 때 따로 namespace를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default 값이 할당된다.
모든 Namespace에 속한 pod를 보기 위해서는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아니면 -n 옵션을 이용해서 특정 namespace를 지정하면 된다.
또 다른 옵션은 -o wide 옵션이다. 더 자세하게 pod 정보를 출력한다.
또 curl 10.36.0.1 을 통해 nginx의 시작 페이지가 어떤지 확인할 수 있다.
- run
test-nginx 라는 이름으로 nginx 이미지 파일을 이용해서 pod를 생성한다.
namespace를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default namespace에 저장된다.
- expose
pod를 만들었으므로 이를 외부에 노출시켜 사용자들이 접근하게 할 수 있다.
test-nginx pod를 모든 노드에 서비한다.
자세한 정보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이걸 실제 컴퓨터를 통해 확인하면
10.0.0.2, 10.0.0.3 에서도 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10.0.0.1, 10.0.0.2, 10.0.0.3 은 가상 머신의 IP주소이다.)
삭제하는 방법
- service 삭제
- pod 삭제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쿠버네티스 yaml 파일로 작성하기 (0) | 2023.06.25 |
---|---|
[k8s] 쿠버네티스란? 기본 개념 총정리 (에티버스러닝) (0) | 2023.06.21 |